본문 바로가기

Acupuncture Medicine

Session 2 (05.19) : Spine CARE 가이드라인 교육 더보기
Session 1 (04.28) : Radiologic Diagnosis Guidelines for Acupotomy 더보기
Acupotomy 더보기
Session 6 (09.08) : CME Test 더보기
Session 7 (10.13) : Case Conference 더보기
제1회 대한침구의학회인증 침도 전문가과정(CME, Continuing Medical Education)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더보기
[ 通經取穴 ] 통경취혈 通經取穴法을 ‘同名經取穴法’ ‘六經相通治療法’이라고도 부르는데, 이는 接經取穴法의 연장인 동시에 經絡요법의 한 종류이다. 六經相通이란 手太陰과 足太陰, 手陽明과 足陽明, 手少陽과 足少陽, 手太陽과 足太陽, 手厥陰과 足厥陰, 手少陽과 足少陽이 서로 통하는 것으로서 手足三陰三陽이 相通하는 것을 말한다. 同名經配穴法을 활용한 예도 많다. 예를 들면 百症賦에 “귀가 먹고 氣가 막히는 것은 모두 聽會, 翳風에 있다”고 씌여 있는데 聽會는 足少陽膽經이고 翳風은 手少陽三焦經이다. 또한 “말하기를 싫어하고 눕기 좋아하는 것은 通里 大鍾에 있다”고 하였는데 通里는 手少陰心經, 大鍾은 足少陰腎經의 經穴이다. 그리고 “熱病인데 땀이 나오지 않으면 大都와 經渠를 같이 쓰면 된다”는 말이 있는데 大都는 足太陰脾經 經渠는 手太陰.. 더보기
[ 接經取穴 ] 접경취혈 接經이란 經脈의 상하를 서로 연결하는 것을 말하고, 接經取穴은 12經脈에 병변이 발생했을 경우 그 와 연결되는 위 혹은 아래의 五兪穴, 郄穴, 絡穴의 穴位에 침치료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면 不眠症은 三陰交를 取穴하고, 발꿈치통증은 大陵穴을 활용하며, 脇肋痛은 支溝를 활용하는 것은 모두 이와같은 이치이다. 接經取穴의 이론 근거는 12經脈이 서로 이어지고 하나의 氣로 연관되어 있으며 끊임없이 흐르는 말단이 없는 고리모양처럼 되어 있다는 것이다.(如環無端) 靈樞 經脈에서 12經脈의 순행순서는 폐 대장 위 비 심 소장 방광 신 심포 삼초 담 간 그리고 다시 폐경으로 돌아온다고 했다. 12經脈이 상호 연결되어 있으므로 經脈마다 상하 이어지는 상접 하접 經脈이 있다. 예를 들면 肺經의 上接經脈은 肝經, 下接經脈.. 더보기